← 블로그 돌아가기

구글 검색 상위 노출 전략(1) - 구글 서치콘솔 알아보기

구글 서치콘솔을 활용한 검색 상위 노출 전략! 핵심 지표부터 테크니컬 SEO 진단, 키워드 데이터 활용법까지 상세히 알아보는 초중급 가이드
아티클 공유하기
이 아티클이 유익했다면, SNS에 공유해 보세요!

구글 검색 상위 노출 전략(1) - 구글 서치콘솔 알아보기

구글 서치콘솔을 활용한 검색 상위 노출 전략! 핵심 지표부터 테크니컬 SEO 진단, 키워드 데이터 활용법까지 상세히 알아보는 초중급 가이드
아티클 공유하기
이 아티클이 유익했다면, SNS에 공유해 보세요!

구글 서치콘솔, 잘 활용하고 계신가요? 마케터의 입장에서 이제 SEO의 중요성을 언급하는 것이 입 아플 정도인데요. Similarweb의 2024 디지털 마케팅 리포트에 따르면, 오가닉 검색 트래픽이 전체 웹사이트 트래픽의 평균 5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요즘 같은 경기 불황에서 검색 광고 비중을 줄이고, 오가닉 트래픽을 활용해 전환을 늘리고자 하는 기업들은 구글 서치콘솔이 단순히 유용한 도구가 아닌, 필수적인 툴이죠!

물론 기업들이 Ahrefs, SEMrush 등 전문적인 SEO 툴을 도입하고 있지만, 구글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SEO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본적인 도구로 여전히 서치콘솔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구글 서치콘솔의 핵심 기능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한 검색 상위 노출 전략을 실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A. 구글 서치콘솔이란?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 GSC)은 구글이 제공하는 무료 SEO 툴입니다. 웹사이트 소유자가 자신의 웹사이트가 구글이라는 검색 엔진에서 어떻게 노출되고 있는지 알려줍니다. 구글 서치 콘솔의 핵심 기능은 웹사이트의 성능과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웹사이트의 검색 트래픽을 분석하고, 색인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어떤 점에서 사이트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 진단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콘솔은 보통 마케터, SEO 전문가, 웹 개발자, 사이트 관리자가 사용합니다.

B. 구글 서치콘솔 시작하기

1. 웹사이트 등록하기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여 분석하려는 사이트의 속성 유형을 선택합니다. 속성은 ‘도메인’ 및 ‘URL 접두어’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분석하고자 하는 내 웹사이트가 어떤 속성인지 파악하신 후에 웹사이트의 URL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Initial setup screen of Google Search Console where users can select between domain and URL prefix properties to start website analysis
  • 도메인

도메인은 상위 도메인, 하위 도메인을 모두 포함합니다. 페이지 상에 있는 모든 URL을 적지 않아도 모든 도메인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기본적인 속성입니다. 

  • URL 접두어

URL 접두어는 특정 URL로 시작하는 페이지들만 포함합니다. 분석하는 웹사이트가 특정 URL로 시작되는 경우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소유권 증명하기

구글 서치 콘솔은 자사 사이트의 데이터를 불러오고 분석하기 때문에, 사이트를 직접 소유하고 있거나 관리하는 권한을 사람이 웹사이트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전 단계에서 선택한 유형에 따라서 소유권 증명 방법이 달라집니다.

  • 도메인
    • 도메인 속성은 DNS 레코드를 통한 인증만 가능합니다. DNS 레코드 인증 절차는 도메인 제공업체 및 사이트 관리 플랫폼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 URL 접두어
    • URL 접두어 속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인증이 가능합니다. 구글에서는 HTML 파일 업로드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외에도 HTML 태그 추가,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 인증, GTM(구글 태그 매니저) 계정 인증, 도메인 속성과 동일한 DNS 레코드 인증이 가능합니다.

세팅이 완료되면. 구글 서치 콘솔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불러오는데 24~48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이후 GA4와 연동하여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구글 서치 콘솔의 데이터를 동시에 체크할 수도 있습니다.

C. 구글 서치 콘솔 핵심 기능 알아보기

1. SEO 모니터링을 위한 핵심 지표

Google Search Console graph showing key SEO metrics like total clicks, total impressions, average CTR, and average ranking position

서치콘솔에서는 ‘총 클릭 수’, ‘총 노출 수’, ‘평균 CTR’, ‘평균 게재 순위’ 크게 네 가지 핵심 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들을 유기적으로 분석하고 관리하는 것이 구글 검색 순위 향상의 핵심입니다. 

  • 총 클릭 수 : 사용자가 구글 검색 결과에서 여러분의 웹사이트 링크를 클릭한 횟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실제 트래픽으로 이어진 검색 결과의 직접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총 노출 수 :구글 검색 결과에 여러분의 웹사이트가 표시된 횟수입니다. 노출 수의 증가는 장기적으로 브랜드 인지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평균 CTR(클릭률) : 노출 대비 클릭 수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검색광고나 디스플레이 광고에서 보는 지표와 동일한 개념이죠. 이 수치가 낮다면 메타 디스크립션이나 타이틀 태그의 최적화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평균 게재 순위 : 검색 결과에서 여러분의 웹사이트가 표시되는 평균적인 위치를 보여줍니다. 사용자의 위치, 기기, 검색 기록 등에 따라 순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평균' 값으로 제공됩니다.

이런 핵심 지표 데이터는 검색어 수부터 페이지, 국가, 기기, 검색 노출, 날짜까지 원하는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특히 클릭수, 노출, 게재 순위는 클릭으로 각 지표별 오름차순/내림차순 정렬이 가능해 원하는 관점에서 빠르게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2. 테크니컬 SEO 진단

테크니컬 SEO는 웹사이트의 기술적 토대를 다지는 작업입니다. 아무리 퀄리티있는 콘텐츠를 만들어낸다고 해도, 웹페이지의 로딩이 느리거나 웹사이트의 기술적인 구조가 잡혀있지 않다면 웹 크롤링 과정에서 해당 콘텐츠를 제대로 인지할 수 없습니다. 테크니컬 SEO은 이러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여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발견하고 색인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복잡한 테크니컬 SEO 작업 과정에서 Ahrefs 또는 SEMrush와 같은 SEO 툴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지만, 서치콘솔만으로도 상당한 수준의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1. 색인 생성 범위

Technical SEO diagnostics and indexing issues displayed on Google Search Console. Supports monitoring and resolving indexing problems

색인 생성 범위 기능으로 웹사이트의 페이지들이 구글 검색엔진에 어떻게 색인되고 있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검색엔진에 실제로 노출되는 페이지 수를 파악하고,  문제가 있는 페이지의 원인을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색인 생성에서 문제가 발생한 페이지들의 구체적인 해결 방법은 구글 검색 센터 커뮤니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코어 웹 바이탈

코어 웹 바이탈(Core Web Vitals)은 구글이 웹페이지의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도입한 핵심 성능 지표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사용자 경험’은 페이지의 속도 중점인데요. 코어 웹 바이탈 검사로 각 페이지의 데스크톱/모바일 환경에서의 페이지 로드 속도, 응답성, 시각적 안전성을 점수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마케터들은 코어 웹 바이탈에서 문제가 있는 페이지를 식별하고 개발자들의 도움을 받아 점수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코어 웹 바이탈 점수를 높게 받은 웹사이트는 그렇지 않은 웹사이트들에 비해 평균적으로 게재 순위 31% 상승. 클릭률(CTR) 23% 향상을 보였습니다.

코어 웹 바이탈의 주요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LCP(Largest Contentful Paint)

사용자가 URL을 요청한 시점에서 해당 표시 영역에서 가장 큰 시각 콘텐츠 요소 하나가 로드되는 시간입니다.  좋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서는 2.5초 이내에 페이지가 로드되어야 합니다. LCP의 개선 가이드는 이곳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1. FID(First Input Delay)

사용자가 첫 페이지와 상호작용할 때까지의 응답 시간입니다. 구글에서는 200밀리초 이내를 ‘빠름’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1. CLS(Cumulative Layout Shift)

페이지 로드 중 발생하는 시각적 레이아웃 변화의 정도입니다. 보통 0.1 이하가 좋은 점수로 간주됩니다.

D. 키워드 데이터 기반 콘텐츠 작성하기

테크니컬 SEO로 구조적이고 짜임새있는 웹사이트를 구축하셨다면, 상위 노출 전략의 다음 단계는 탄탄한 콘텐츠 수립입니다. 서치콘솔의 키워드 데이터를 활용해 SEO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만들 수 있습니다. 서치 콘솔을 통해 오가닉 키워드 데이터를 추출하고 실제 적용 가능한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검색어' 탭에서 게재 순위가 낮은 키워드를 확인합니다.(게재 순위가 낮을수록, 페이지가 검색 결과에서 더 상위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Google Search Console dashboard displaying marketing ranking and impressions data. Visualized metrics for analyzing SEO performance.

2. 게재 순위가 낮으면서 노출 수가 높은 키워드를 선별합니다.

Analysis of popular marketing-related search terms and ranking data. Valuable keyword insights for planning SEO content

3. 구글 키워드 플래너 또는 다른 키워드 분석 툴을 활용해 해당 키워드들의 실제 검색량을 확인합니다.

Google Keyword Planner displaying monthly search volume and competition data. Key statistics for plann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4. 웹사이트의 게재 순위가 높으면서 실제로 평균 검색량이 높은 키워드를 선정하여 콘텐츠를 기획하고, 해당 키워드를 메타 디스크립션 및 메타 태그에 활용합니다.

Header image for a blog post introducing marketing dashboard templates and real-world use cases with dashboard designs and applications

E. 결론

이번 아티클에서는 구글 서치콘솔의 기본 개념부터 핵심 기능까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서치콘솔로 웹사이트의 검색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테크니컬 SEO를 진단하며, 키워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전략까지 수립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는데요.

특히 색인 생성 범위와 코어 웹 바이탈 점수를 꾸준히 체크하면서 웹사이트의 테크니컬SEO를 개선하고, 오가닉 검색어 데이터를 활용해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기획한다면 구글 검색 결과에서 웹사이트가 상단에 오르는 것은 시간 문제입니다.

나아가 아드리엘 MI에서 서치콘솔과 광고 데이터를 통합한다면 서치콘솔의 데이터를 더욱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다음 아티클에서는 구글 서치콘솔과 아드리엘 대시보드를 활용한 실전 데이터 통합 분석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트렌드의 흐름을 한눈에,
아드리엘 뉴스레터
꼭 알아야 할 업계 동향 인사이트,
놓칠 수 없는 아드리엘의 소식까지
한발 앞서 메일로 받아보세요
지금 바로 마케팅 데이터 관리하기